‘스타워즈’와 ‘어벤저스’ 비즈니스 모델

‘모델'(가와카미 마사나오 지음 中) 가와카미 마사나오가 쓴 ‘모델’이라는 책에 스타워즈와 어벤저스와 관련된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가 나온다. 조금 길지만, 해당 부분을 인용한다. “루카스는 <스타워즈> 시리즈를 계약할 때, 영화에 관련된 굿즈를 판매할 수 있는 머천다이징 권리를 취득했던 겁니다. 루카스는 예산이 큰 SF 영화에서, 영화관의 흥행 수익만으로는 자금을 회수할 정도로 이익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했던거죠. 반대로 20세기폭스는 캐릭터가 … Read more

권력을 경영하는 7가지 원칙

< 제프리 페퍼 저 > 권력을 경영하는 7가지 원칙  :  – 제1원칙 : ‘착한 사람’ 이미지에서 벗어나라, – 제2원칙 : 당당하게 규칙을 깨라, – 제3원칙 : 이미 권력자인 것처러럼 행동하라,  – 제4원칙 : 성공한 사람으로 나를 브랜딩하라, – 제5원칙 : 영리하게 인맥을 쌓아라, – 제6원칙 : 권력은 얻은 즉시 사용하라, – 제7원칙 : 권력의 과거는 … Read more

M社 사례로 보는 전략 포인트

주물을 주재료로 조리기구를 생산 및 판매하는 회사인 M社 사례로 비즈니스 전략의 기본적 측면(고객에 대한 이해, 보완재 전략, 고객과의 관계)을 다시 생각해 보려 한다. 현재 우리 나라 시장에 수많은 조리기구 및 주방기구 브랜드가 넘쳐나고 있으니 경쟁환경이 녹록치 않다는 것은 미루어 짐작된다. M社의 제품은 주물 조리기구로서 소형주물 압력솥, 팬, 웍 등이다. 다른 금속재료인 스텐레스, 양은, 기타 합금 … Read more

차별화에 대한 작은 생각

비즈니스에서 ‘차별화’는 모두에게 주어진 숙제와 같을 것이다. 경영서적이나 전략서들을 보면 차별화에 대한 정의나 개념, 차별화를 이루는 방법들에 대해서 수많은 이론들을 내놓고 있다. 핵심역량, 핵심자산, 가격 차별화, 포지셔닝 등등 차별화와 관련있는 수많은 개념들도 차고 넘친다. 이렇다 보니 오히려 어지럽게 다른 생각하지 말고 뚝심이나 배포를 가지는 것이 차별화의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어떤 책에서 나오는 문제를 보다가(‘생각실험’, … Read more

콘텐츠 비즈니스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의미는 무엇일까요?(2)

2. 방송이라는 서비스는 사라질 운명일까 2.1 전파(전염)의 방식 1854년 런던에서 콜레라가 유행했다. 존 스노라는 의사가 ‘감염지도’를 만들어서 동일한 식수원이 전염원이라는 것을 증명해냄으로써 그전까지 몰랐던 콜레라의 원인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동일 감염원’ 전파에 해당되는 전염병이다. 상한 음식을 먹어서 생기는 식중독도 마찬가지로 ‘동일 감염원’ 전파에 해당한다. 한편, 전세계적인 코로나19 사태는 ‘전달형 전파’에 해당하는 전염병이다. 많은 호흡기 전염병은 … Read more

콘텐츠 비즈니스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의미는 무엇일까요?(1)

1. 방송사와 넷플릭스의 비즈니스 모델 비교(feat. WAVVE) 1.1 질문 매트릭스 ‘비즈니스 모델’이란 말은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이 중요하다’, ‘신제품 개발보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이 중요할 수 있다’ 이런 말들도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비즈니스 모델이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내가 몸담고 있는 조직이 어떤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사람들은 의외로 적다. … Read more

해석기하학(기하학+대수학)의 출현과 연결관계

수학자인 스티븐 스트로가츠가 쓴 ‘미적분의 힘’에는 해석기하학의 출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얘기가 나온다.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 기하학이 발달해 왔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기하학의 발전은 거의 정체된 상태였다. 중세시대 아시아, 아랍, 인도 지역에서 발달한 대수학의 개념들이 유럽에 전해졌다. 그러다가 이 두 분야가 밀접하게 연결된다. 페르마와 데카르트가 좌표를 도입하여 기하학과 대수학이 연결된 ‘해석기하학’이 탄생한다. 단순히, 좌표계를 … Read more

넷플, 애플 등 OTT 공룡 틈바구니서 ‘왓챠’가 분전하는 비결은 – 정말일까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050911551 : 한국경제신문, 5/9일 기사에서는 ‘왓챠’의 콘텐츠 리뷰 및 추천 서비스에 대한 약간의 설명을 하고 있다. 2011년부터 소비자들의 별점과 후기등 6억5천만개 이상의 콘텐츠 평점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대량의 데이터와 함께 쌍으로 출연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왓챠가 분전하는 것이 이러한 AI 기반의 데이터 분석 기술이 큰 원인이라면, 과연 왓챠는 시스템을 통하여 다른 … Read more

들어가는 말

역시 콘텐츠가 중요하다? 바야흐로 콘텐츠 전성시대다. 1990년대말 시작된 한류 열풍이 2020년대 들어 전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K-팝, K-드라마, 영화, 게임 뿐만 아니라 콘텐츠에 많은 영향을 받는 음식, 패션, 뷰티에 이르기까지 콘텐츠의 영향력이 넓어지고 있다.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인 신드롬을 만들어 낸 이후 콘텐츠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어찌보면 당연한 흐름이다. 콘텐츠는 중요하다. 이것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글로벌 … Read more